본문 바로가기
일상(daily life )/생각(Thinking)

투잡을 넘어 N잡러가 되는 이유

by G-Kyu 2023. 12. 7.
728x90
반응형

 

워라밸

한국 경제가 급격히 성장하던 시기엔 일과 생활의 균형(WORK & LIFE BALANCE)은 먼 나라 이야기였다.

하루하루 먹고살기 힘든데 일과 생활의 균형을 찾는 것은 사치로 보였고, 불가능할 것 같았다.

그러나 그때는 이렇게 사는 게 당연한 듯 살았고, 이렇게 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던 때였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워라밸을 외치기 시작했다.

지금은 그때보다 경제 성장률은 높지 않지만, 이미 먹고살 만큼 성장했으므로 더 이상 성장률은 의미가 없는 시기다.

 

사람이 일만 하도록 태어난 것도 아니고, 일 하는 시간과 삶의 시간의 균형이 맞아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하기 위해선 주 5일 근무와 정시 퇴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주말에 회사를 가지 않아도 되고, 야근만 없다면 시간상 여유로운 삶을 보낼 것 같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시간의 여유가 있어서 금요일 밤 비행기를 타고 가까운 해외를 가서 여행을 즐긴 뒤

일요일 저녁에 귀국하면, 2박 3일 동안 해외여행을 즐길 수도 있다는 계산도 나온다.

해외가 아니더라도 국내 여행도 가능하다. 일주일 중 이틀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웬일인지 경제는 성장했고, 시간은 넉넉 해 졌음에도 워라밸은 다른 나라 이야기 같고,

투잡을 하는 사람들이 생기고, 그 이상 일을 하는 이른바  'N잡러'까지 생겼다.

 

균형 있는 삶

사람들은 아슬아슬한 것보다는 균형이 잘 잡힌 상태를 원한다.

균형 잡힌 삶에서 자극을 주기 위해 불안정한 상태를 잠시 즐길 수는 있지만

안정적인 상황을 이어 가고 싶은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현재 한국의 경제 수치를 보면 이제는 더 이상 일만 하며 살지 않아도 되는 시대에 사는 것 같다.

주 5일 일하고, 정시 퇴근 하고, 주말을 즐기는 삶이 당연한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2023년 자료는 아직 집계가 안 되었지만, 2021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고 생각하고,

2021년 자료 기준으로 그 이유를 찾아보았다.

 

2년 전 자료인 2021년 통계청 수치를 보면 한국 1인당 소득은 35,110달러다.

환율 1,300원으로 계산해 보면, 국민 1인당 1년에 45,643,000원을 소득으로 얻고 있다.

 

한 사람이 1년에 약 4,560만 원을 벌기 위해선 세후 월급은 380만 원은 되어야 한다.

이 자료를 보면 국민 평균 1인당 380만 원을 소득으로 얻고 있는 것 같지만 과연 그럴까?

 

2023년 2월 신문기사를 보면, 2021년 월평균 임금은 333만 원이고, 

임금 근로자 중 절반이 250만 원이 안되었고, 대기업은 563만 원, 

중소기업 266만 원으로 그 격차는 2배였다.

 

 

 

직장인 평균 월급 333만원…대기업 563만원, 중소 266만원

2021년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세전 기준 월평균 임금은 333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임금근로자 중 절반은 월급이 250만원이 안 됐고, 대기업의 월급(563만원)은 중소기업(2…

www.donga.com

 

즉, 직장인이라면 월 380만 원을 버는 게 아니라 실제로는 소득 격차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직장인은 이 금액을 체감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차이를 메꾸기 위해 투잡 또는 N잡러가 점점 늘어나는 것이다.

돈을 조금 벌더라도 한 가지 일만 하면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하겠지만,

그럴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생활물가다.

 

 

 

'장보기 물가' 따져보니...주요국중 韓보다 비싼 곳 스위스 뿐 | 중앙일보

계란·물·치킨을 제외한 12개 주요 식료품 가격이 OECD 평균보다 높았다. 24일 중앙일보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의뢰해 글로벌 조사기관 넘베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국의 주요 식료품 구

www.joongang.co.kr

 

2023년 한국의 생활 물가는 세계 2등이다.

사치 부린 것도 아니고, 그저 생존하기 위해 식료품을 구매하는데 물가가 비싸니 돈이 모자란다.

 

장보기 물가 1위인 스위스는 국민 1인당 소득이 88,910달러 (약 1억 1천500만 원 / 월 960만 원)이다.

우리나라는 그 절반 밖에 안 되는데도 세계 2등이다.

 

그마저도 소득 격차로 인해 월 380만 원을 벌지 못하는 직장인이 절반이다.

3위인 아이슬란드는 63,140 달러 (약 8,200만 원 / 월 684만 원)이다.

 

돈에 환장해서 투잡을 하거나 N잡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다.

 

한국에서 산다는 것

한국적 상황에서 한 가지 직업 이상은 필수일까?

추가 수입을 얻을 곳이 없다면, 안타깝지만 그렇다라고 할 수밖에 없다.

 

헬스장에서 하는 유머가 있다.

바벨을 들 때, 봉의 무게는 생각하지 않고 원판 무게만 생각할 때,

 

' 봉은 조상님이 들어주냐? '

 

이 유머는 추가 수입을 원하는데, 다른 일을 하지 않고서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답도 된다.

사실 한 가지 일만 해도 먹고사는데 지장이 없는 구조가 맞다.

 

사람이 한 가지 일도 힘든데, 본업을 하고 퇴근해서 또 다른 일을 하고,

쉬는 날에도 다른 일을 찾아 하고, 일하는 중간에 틈틈이 할 수 있는 일거리를 찾아야 하는 게 맞는 삶인가?

일 많이 한다고 알려진 개미도 이렇게 일하지 않는다. 

 

만약 한 가지 일을 하며 직장인 평균 월급이라고 알려진 월 380만 원을 번다면,

수치상 중산층에 속하는 것이고, 미래에 대한 불안만 아니라면 지금 수준을 벌어도

그 이상의 일을 추가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추가 수입을 위해 다른 일을 해야 하는 게 현재 상황이다.

월 380만 원은 있어야 한국의 물가를 견뎌낼 수 있기 때문이다.

 

 

팔방미인의 함정

현재 흐름을 보면 직장인으로 살기 위해선 팔방미인이 되어야 한다.

업무에서 다방면으로 능한 게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해 여러 직업을 가질 수 있어야 함을 뜻한다.

 

직장인은 돈이 된다는 이유로 본업 외에 적성에도 맞지 않는 일을 찾아 추가로 해야 하고,

심지어 직장으론 답이 없다 생각하고 사업에 재능은 없지만 돈을 더 벌기 위해

사업을 시작하기도 한다.

 

큰 욕심을 가지고 떵떵 거리며 살기 위해 사업을 시작한다고 생각하겠지만,

현 상황에서는 답이 없어서 생계형 자영업자가 되는 경우가 다수다.

 

과연 한 가지 일만 잘하는 사람은 가치가 없는 것일까?

중산층 이상을 살지 못하면 실패한 인생일까?

 

그렇게 생각하기 싫어도 현실을 맞닥 드리는 순간 그렇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당장 기본적인 사항을 하지 못하고 사는데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직장인으로서 한국에서 중산층으로 살기 위해서는 팔방미인으로 살아야 할 확률이 높지만

사람이 여러 일을 동시에 하거나 그래야 하는 사회적 구조가 맞는 건 아니란 생각이 든다.

 

중산층을 꿈꾸며

보통으로 사는 것이 가장 힘들다는 말이 와닿는 것이 현실이다.

가족이 살 수 있는 집, 자동차, 여가 있는 삶 이런 것을 바라는 게 

문장으로 보면 중산층의 삶의 모습이지만 큰 꿈이 되어버린 상황이기 때문이다.

 

평범한 직장인은 투잡에 N잡까지 하는 삶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고, 

워라밸은커녕 생존이 위협받는 것 같다.

열심히 일 했는데 손에 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을 살기 위해 투잡과 N잡을 하는 것이 이성적으로 보면 필수이지만

세상엔 반드시 해 뜰 날이 온다.

 

투잡과 N잡을 통해 적성을 발견하여 한 가지 일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고,

예기치 않은 기회가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