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daily life )514

트위터 할 때 난감한 3가지 경우 대세는 140자 140자로 자신의 생각 혹은 상황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트위터 자신이 결혼하고 있는 것을 트위터에 올리는 신랑 사소한 것 하나라도 올려야 속이 시원한 사람 이젠 익숙한 풍경이다! 이슈 키워드부터 사소한 일까지 트위터 타임라인은 1초가 멀다하고 지금도 갱신되고 있다 트위터는 스마트 폰과 만나자 피자와 콜라 , 고구마와 우유 , 아메리카노와 치즈케이크의 조합을 능가하는 미친 존재감을 보여 준다 트위터를 통한 소식은 팔로우에 팔로우를 타고 발 없는 말이 트위터 타고 천리정돈 쉽게 간다 그 이야기가 사실이건..사실이 아니건 말이다!! 하지만...이 모든 것은 트위터에 적응 했을 때의 이야기다 어떤 시스템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위와 같은 일이 벌어질리 없으니 말이다 이젠 무시할라고 해도 무시할 수.. 2010. 11. 15.
2011년 탁상달력 사진 공모전 - 가을 2010년 8월 여름이 끝나가고, 가을이 찾아오는 이 시점.. 어슴프레 찾아오는 밤과 노을을 찍게 되어 응모 합니다! 2010. 11. 14.
우리들이 시간을 바라 보는 4가지 시선 시간에 대한 정의 "너 오늘 시간 있냐?" 라는 물음에... " 시간은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이다" 라고 고상하게 대답하는 것부터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시간 시간을 놓쳤다...시간이 안간다... 시간이 잘간다... 시간을 떼운다...시간을 죽인다... 시간을 기다린다...시간을 멈춘다 시간에 붙는 다양한 수식어가 존재하는데 도대체 시간이 무엇일까?! 저명한 학자도 아니고... 시간에 대해 확실한 정의를 내릴 순 없지만 지금까지 살아 온 경험에 의해 시간에 대해 재해석 해보고자 한다! 물론...졸릴 수도 있으니 불면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정독하자! 시간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시간은 신기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분명 정해진 템포에 의해 초와 분이 움직이고 지구의 자전을 빨리 하여, 해가 뜨고 지는 것을.. 2010. 11. 12.
팔면 끝? 신세계 백화점의 떠넘기기식 A/S 구매한지 1년도 안되어서? 2009년 12월 영등포 신세계 백화점 1층 잡화에서 구입한 레이벤 선글라스 하지만 2010년 11월 6일 케이스에 넣어 놓았던 선글라스의 렌즈가 빠져있었고... 이 사실을 모르고 선글라스를 케이스에서 빼자 렌즈가 땅에 떨어져 깨지고 말았는데... A/S를 받으러 구매처로 선글라스를 판매 하였던 1층 매장으로 방문하였고, 레이벤 선글라스 판매처로 가서 판매원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 하였고 신세계 백화점 1층 매장직원과 관리자가 이야기 하는 바는 이러 하였는데 백화점 측 주장 렌즈는 소모품이고, 보증기간에 상관없이 파손 시 유상 처리가 원칙 구매하고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는데, 렌즈가 빠졌다면 불량이지만 착용한 이력이 있는 제품이니 불량이라 볼 수 없음 그러니 원칙대로 유상 A/S .. 2010. 11. 10.
도로에 있는 이 표시들의 정체는?! 지하에 무언가 있다 지상에 있는 것들은 왠만해서는 눈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지하는 어떤가?! 땅굴 , 지하철 , 닌자거북이..까지 존재하지는 않지만 지상만큼 지하도 꽤 복잡한 세계임에 틀림 없다 그렇다고, 어둠의 지하 조직까지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지하의 종류는 두가지로 나뉘게 된다 우리 모르게 한 것과 알 수 있도록 한 것 전자의 경우, 비밀 지하 벙커가 있고 가끔씩 탈레반 형님들이 사용 해 주시기도 한다 햇빛 하나 들어오지 않지만 핵 폭탄에서도 살아 남을 수 있다는 지하벙커 그래서 그런지 지하방 치고, 구하기도..만들기도 쉽지 않다 아마 지하계의 팬트 하우스라 불리우지 않을까? 그리고 지하에는 우리가 알 수 있도록 표시를 해 둔 것이 있는데 고압선 , 상하수도관 , 가스관을 비롯하여 다양한 것들이.. 2010. 11. 8.
키 큰 사람이 부러운 3가지 경우 키 = 기럭지 어느새 부터인가 충청도 사투리인 기럭지가 표준어인 키를 앞지르고 우리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게 되었다 길이부터도 긴 기럭지라는 단어가 쓰이게 된 이유는 모르겠지만 어감상 키 보다는 기럭지라는 표현이 더 맞아서 아닐까? 포털 사이트를 기반으로 흔히 볼 수 있는 표현 우월한 기럭지....완소 기럭지 등등 우리나라만큼 키에 대해 민감한 나라가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같은 얼굴, 같은 몸매라면 키가 큰 사람이 후한 평가를 받는 것 같다 아무튼 키가 큰... 일명 사기에 가까운 기럭지를 소유한 사람을 보면 부러우면 지는 거지만... 부러운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부러워 하지 않기 위해.. 키가 큰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에 비해 사망 확률이 높다는 의학 보고서를 봐도 그렇게 위로가 되거나 와닿지 않는.. 2010. 11. 6.
반응형